톱밥으로 주목하기
무언가를 만들고 남은 부산물인 톱밥이 작업의 재료로 재생산되는 것은 부산물을 주산물로 만드는 과정이다. 목적 없는 것이 분명한 목적을 가지게 되는 순간이다. 보잘것없고 평범한 존재도 특별하고 주요한 존재가 되는 순간이다. 톱밥과 물감, 보조제가 뒤엉켜 만들어진 반죽, 그리고 그렇게 만들어진 톱밥 반죽은 곱고 반듯한 면에 발리고, 또 두텁게 짜내어진다.
톱밥 반죽을 짜내어 형상을 채워 넣는다. 그리고 그것들은 이내 마르면서 수축하고 뒤틀려 불규칙한 표면과 제멋대로의 경계를 남기며 처음과는 다른 형태로 굳어지게 된다. 이는 아주 자연스러운 과정이며, 통제할 수 없는 미지의 영역이다. 이런 일련의 과정을 통해 그것들은 어떠한 고유함을 부여받는다.
톱밥이 두껍거나 얇거나, 거칠거나 부드럽거나, 그것들의 다채로운 굴곡과 불규칙함, 제멋대로의 경계, 그리고 그런 것들로 완성된 하나의 정돈된 작업은 수많은 불확실성으로 구성되어 있지만, 결국 한 데 모여 하나의 확실한 존재를 이뤄내 완전해진다는 점에서 우리들의 삶, 우리 각자의 존재들과 연결되어 있다.
The Sawdust Gaze
To reclaim sawdust as a material is to turn the byproduct into the main substance, to grant purpose to what had none, and to elevate the insignificant and overlooked into the essential. Sawdust, pigments, and binders merge into a dense, tactile paste, and this paste is spread over smooth, even surfaces and extruded thickly.
The sawdust paste is extruded to fill forms. Soon after, the paste dries, shrinks, and warps, leaving irregular surfaces and unruly edges behind, solidifying into shapes transformed from their original forms. This is a purely natural process, and at the same time, a mysterious realm beyond human control. Through this unfolding sequence, the forms are granted uniqueness.
Whether thick or thin, rough or smooth, its varied contours, irregularities, and unruly edges — and through these very qualities as they come together — a single, composed work takes shape. Though made up of countless uncertainties and imperfections, these elements come together to complete a whole, carefully crafted work. This work becomes a distinct and complete presence. In this way, it connects to our shared world, our individual lives, and our unique existences. Made up of countless fragmented, imperfect, and unstable parts that come together to create something meaningful and whole, the work reflects our lives and represents each of our unique existences.